News
Date
Category
Contents
2024.09.09
Paper
남다정(석사연구원) 1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Cellular Signaling (Impact factor 4.4).
2023.11.07
Award
남다정(석사4기) 대한약리학회 최우수 구두 발표상
남다정(석사4기)가 2023년 대한약리학회 최우수 초록으로 선정되어 최우수 구두 발표상과 상금(10만원)을 수상하였습니다.
2023.08.06
Paper
류재욱(박사후연구원) 3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Impact factor 13.6).
2022.09.01
Funding
류재욱(박사후연구원) 국내연수사업 선정
2022년 학문후속세대지원(박사후국내연수) 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2022.06.09
Paper
류재욱(박사후연구원) 2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Cell Death & Disease (Impact factor 8.469).
2022.03.01
Paper
김우태(박사졸업생) Tenure-Track 교수 임용
김우태 박사가 순천향대학교에 임용되었습니다.
2021.11.05
Award
류재욱(석박통12기) 대한약리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류재욱(석박통12기)가 2021년 대한약리학회 우수포스터로 선정되어 상장과 상금(10만원)을 수상하였습니다.
2020.11.12
Award
손주영(석박통4기) 대한약리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손주영(석박통4기)가 2020년 대한약리학회 우수포스터로 선정되어 상장과 상금(10만원)을 수상하였습니다.
2020.03.20
Paper
임재호(석4)의 1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Int J Mol Sci (Impact factor 4.183).
2018.12.19
Paper
김우태(포닥)의 8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Int J Mol Sci (Impact factor 3.687).
2018.08.18
Paper
류재욱(석박통 5기)의 1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Cancer Med (Impact factor 3.202).
2018.08.01
Paper
표재혁(졸업)의 1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Int J Mol Sci (Impact factor 3.687).
2017.10.28
Paper
김우태(포닥)의 7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Oncotarget (Impact factor 5.168).
2017.09.14
Award
류재욱(석박통4기)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류재욱 (석박통4기)가 2017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우수포스터로 선정되어 상장과 상금(10만원)을 수상하였습니다.
2017.03.05
Paper
최민지(졸업) / 민유홍(석4기)의 2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Br J Pharmacol (Impact factor 5.259).
2017.02.26
Paper
김우태(포닥)의 6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Biochem Biophys Res Commun (Impact factor 2.371).
2016.11.04
Award
표재혁(석4기) 대한약리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표재혁(석4기)가 2016년 대한약리학회 우수포스터로 선정되어 상장과 상금(10만원)을 수상하였습니다.
2016.10.06
Paper
민유홍(석4기)의 1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Oncotarget (Impact factor 5.000).
2016.01.15
Paper
이소담(석4기)의 1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Cancer Letters (Impact factor 5.621).
2016.09.17
Award
민유홍(석2기) 대한약리학회 우스포스터상 수상
민유홍 (석2기)가 2015년 대한약리학회 우수포스터로 선정되어 상장과 상금(10만원)을 수상하였습니다.
2014.12.06
Award
천민경(박4기) MRC 연합성과발표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천민경 (박4기)이 2014년 MRC 연합성과발표회 (2014년 12월 5~6일 대전)에서 우수포스터 수상자로 선정되어 상장과 상금(10만원)을 수여받았습니다.
2014.12.10
Paper
최민지(석3기)의 1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Cancer Letters (Impact factor 5.016).
2014.11.07
Award
천민경(박4기) 대한약리학회 우수구두발표상 수상
천민경 (박4기)이 2014년 대한약리학회 Young Scientists Session에 구두발표를 하여 유망미래약리학자로 선정되어 상장과 상금(20만원)을 수여받았습니다.
2014.10.17
Scholarship
천민경(박4기) 대한암연구재단 암연구박사학위논문저술지원사업 선정
천민경(박4기)가 2014년 대한암연구재단 암연구박사학위 논문저술지원사업 수혜자로 선정되었습니다.
2014.10.09
Paper
천민경(박4기)의 1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Cancer Letters (Impact factor 5.016).
2014.07.15
Paper
김우태(박6기)의 5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Tumor Biology (Impact factor 2.518).
2014.02.05
Paper
김우태(박5기)의 4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Cell Cycle (Impact factor 5.321).
2013.11.27
Scholarship
김우태(박4기) 대한암연구재단 암연구박사학위논문저술지원사업 선정
김우태(박4기)가 2013년 대한암연구재단 암연구박사학위 논문저술지원사업 수혜자로 선정되었습니다.
2013.10.23
Paper
김우태(박4기)의 3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Impact factor 2.476).
2013.10.11
Award
김우태(박4기)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김우태 (박4기) 가 2013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포스터 중에 Cancer Biology 파트에서 우수포스터로 선정되어 상장과 상금(20만원)을 수여받았습니다.
2013.01.23
Award
교수님-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Blue Ribbon Lecture
2013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동계학술대회 / 용평리조트 / 김자은 (Blue Ribbon Lecturer) / Chromatin modification in the regulation of cell cycle
2013.01.16
Paper
김우태(박2기)의 2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Cancer Letters (Impact factor 4.328).
2012.06.26
Award
교수님- 한국로레알-유네스코 여성생명과학상 펠로쉽 수상
www.unesco.or.kr 2012년 6월 26일
제11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생명과학상
로레알코리아,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이 공동으로 시상하는 제11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생명과학상’ 학술진흥상 수상자로 이화여자대학교 바이오융합과학과 이공주 교수(57)가 선정됐다.
전도유망한 젊은 여성과학자들에게 주어지는 펠로십 수상자는 △김자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37), △송미령 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조교수(40), △정초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40)이 선정됐다.
학술진흥상을 수상한 이공주 교수는 프로테오믹스(단백질분석기술)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스트레스, 암 전이와 혈관신생에 관여하는 주요 단백질의 기능과 작용기전을 규명하여 새로운 약물개발 표적을 확보하고, 이 과정에서 세계적 수준의 수월성을 가진 프로테오믹스를 개발해 새로운 활성산소종 신호전달체계를 발견한 공적으로 학술진흥상을 수상했다.
펠로십 수상자 김자은 부교수는 새로운 암 발생조절인자와 그 기능을 규명하는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DNA 손상반응에 관여하는 세포의 생존과 사멸 경로를 분석해 암의 조절기전을 밝히며 Nature를 포함한 세계적 학술지에 총 26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괄목할 연구 성과를 보여 펠로십 수상자에 올랐다. 최근에는 후성유전학 관점에서 세포주기 조절을 통한 암세포성정 조절이라는 영역을 개척해 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송미령 조교수는 신경계 발생 과정 중 신경줄기세포에서 신경세포의 생성 및 이후 기능 특화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마우스 유전자모델, 세포-분자생물학적 기법을 바탕으로 전사인자간의 상호작용 및 유전자 발현조절기전을 규명하고 운동신경과 같은 세분화된 신경세포의 유도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결과는 Nature, Neuroscience 등 권위 있는 학술지에 다수 소개됐으며 신경줄기세포의 분화능 조절을 을 통한 신경재생기전의 이해 및 적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초록 책임연구원은 표적 항암제 개발을 위한 표적분자의 기능검증을 주로 연구하며 그 간의 연구성과를 연구 학술지 Nature Medicine, JCI, Hepatology 등에 발표했다. 발암 유전자의 다양한 기능검증을 통해 활용성 높은 표적을 제시했으며 저해제 발굴을 통해 한국형 표적 항암제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로레알코리아,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이 공동 주관하는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생명과학상’은 2002년, 한국의 생명과학기술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여성과학자들의 업적을 치하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제정됐고 올해 제11회를 맞았다. 시상식은 26일 오전에 서울 그랜드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렸으며, 수상자들은 상패와 함께 학술진흥상은 상금 2,000만원, 펠로십 각 500만원의 장학금을 받았다.
2012.01.04
Interview
교수님-한국 미래 짊어진 3040 과학자
2012.01.04 매일경제
한국 미래 짊어진 3040 과학자
생명과학 분야에서는 더욱 젊은 과학자들이 눈에 띈다.
김정범 울산과기대 나노생명화학공학부 교수(38)는 최근 생명공학계의 `뜨거운 감자`인 줄기세포 분야를 연구한다.
지난달 28일에는 그의 연구실이 독일 막스플랑크 분자생의학연구소와 파트너그룹 계약을 맺어 또 한번 화제가 됐다. 김 교수는 사람의 피부세포 등 체세포에서 바로 신경줄기세포나 간세포 등을 만드는 직접교차분화(direct conversion)를 다룬다. 파킨슨 환자의 피부세포를 떼내 신경줄기세포로 분화시키고 실험동물 대신 사람의 병든 신경세포를 직접 이용해 파킨슨병 치료제를 만든다. 사람 세포를 사용하면 인간에게 더 적합한 맞춤형 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다.
그는 "내년에도 줄기세포를 이용해 치료제를 탐색하는 드럭스클리닝(신약 후보물질 탐색)에 중점을 두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자은 경희대 의대 교수(37)는 국민 3명 중 1명이 걸린다는 암을 연구한다.
김 교수는 "암은 유전자(DNA)가 계속 손상돼 세포가 통제능력을 잃고 분열하기 때문에 생긴다"며 "이런 유전자 손상에 대응하는 세포 내 반응에 대해 주로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DNA가 감싸고 있는 히스톤 단백질(염기성 단백질의 일종)에 대한 메틸화 효소가 정상세포의 세포분열을 조절해 암으로 갈지, 아니면 단순한 노화로 갈지를 결정할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심시보 기자 / 이유진 기자]
2012.06.27
Interview
교수님-에너지-산소 대사시스템 교류 규명
2010.06.27 디지털타임스
서울대 의대 약리학교실 박종완 교수와 경희대 의대 김자은 교수, 서울대 약리학교실 임지홍 박사 연구팀은 공동연구를 통해 세포 내 에너지와 저산소 대사를 조절하는 분자가 서로 교류함으로써 통합적인 대사조절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우리 몸의 산소는 에너지 생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산소가 부족한 환경(저산소)에서는 생명을 유지할 수 없다. 높은 산에 오르거나, 폐쇄 공간에 갇히거나, 여러 폐질환으로 호흡이 곤란할 때 전신적인 저산소증에 빠진다.
또한 심장이나 뇌를 포함하여 여러 장기의 혈관이 막히는 경우 국소적인 저산소증에 발생한다. 다행히도 세포는 저산소에 적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다. 그러나 암세포들도 이러한 저산소 적응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더욱 악성화 된다. 이때 산소를 감지하고 저산소 적응 유전자들을 생성시키는 분자가 HIF-1α 이다. 그런데 저산소에서 에너지 대사도 호기성에서 혐기성 대사로 바뀌게 된다. 지금까지는 에너지 대사와 저산소 대사를 독립적으로 연구하고 있었다.
박종완 교수 연구팀은 에너지 대사 감각체인 SirT1이 산소 감각체인 HIF-1α의 아세틸기를 제거하여 저산소 적응 유전자들을 조절함을 밝혔다. 즉, 에너지와 저산소 대사의 대표자인 SirT1과 HIF-1α가 서로 교류함으로써 통합적인 대사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SirT1을 조절하는 약물이나 유전자로 세포의 저산소 적응력을 바꿀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는 주요 사망원인인 심혈관질환과 암의 새로운 표적 치료가 가능함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골대사연구 과학연구센터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2010년 6월 26일(토) 오전 1시(한국시간, 미국 동부 기준 6월 25일 낮 12시)에 Molecular Cell (IF=12.9)에 게재되었다.
□ 연구진 소개
- 박종완: 서울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 및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허혈저산소질환연구소 소장.
1986년 서울의대 졸업 및 조교발령. 1993년 서울의대 박사 취득, 1994년 서울의대 전임강사로 시작하여
현재 정교수.
1996-1998년 미국 하바드의대 혈액종양학실 연수. 1999년부터 저산소와 HIF-1α를 연구 시작.
관련 SCI 논문 60여편. 대표논문으로 Journal of NCI (IF=14.8) 2003, Blood (IF=10.8) 2006,
Blood (IF-10.8) 2008, Molecular Cell (IF=12.9) 2010.
- 김자은: 경희의대 약리학교실 조교수. 1998년 충남약대 졸업 후 2003년 서울의대에서 박사 취득.
2003년부터 2008년까지 미국 펜실바니아의대, 예일의대에서 연수. 2008년부터 현재까지 경희의대
조교수. 관련논문으로 Nature (IF=31) 2008 등이 있음.
- 임지홍: 서울의대 약리학교실 post-doc. 2005년 대학원 입학, 현재까지 8편의 SCI 논문 발표.
2012.01.14
Award
김우태(석4기) 세포생물학회 젊은 과학자상 수상
김우태 (석4기) 가 세포생물학회에서 석사과정 젊은 과학자 (IF >5 이상 소지자 Bioneer Best Publication Award) 상을 수여받았습니다.
2011.12.22
Paper
김우태(석4기)의 1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J Biol Chem (Impact factor 5.328).
2011.11.04
Award
김우태(석4기) 대한약리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김우태 (석4기) 가 2011년 대한약리학회 우수포스터로 선정되어 상장과 상금(10만원)을 수여받았습니다.
2011.11.07
Award
김우태(석4기)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김우태 (석4기) 가 2011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500여편의 포스터 중에 36개 우수포스터 중 하나로 선정되어 상장과 상금(20만원)을 수여받았습니다.
학회 데뷔 첫 해에 큰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Stay Hungry. Stay Foolish."
2010.11.25
Paper
박근영(석4기)의 2번째 논문 승인
The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FEBS letters (Impact factor 3.541).
2010.04.10
Paper
박근영(석3기)의 1번째 논문 승인
This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Protein J.
2010.03.17
Paper
김란아(연구원)의 1번째 논문 승인
This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Cancer Sci.
2009.12.22
Paper
성상원(연구원)의 1번째 논문 승인
This article has been accepted to Neoplasma.